본문 바로가기
조경기본

식재밀도 조경설계기준

by 드로우마스터 2024. 11. 14.
반응형

식재밀도 조경설계기준

 

조경에서 가장 중요한 항목이라면 식재입니다.

식재를 할 때 녹지면적당 몇 주를 심어야 적당한지 애매할 때가 있죠.

물론 공사비에 따라 식재 수량을 조절해야 하는 경우가 많지만, 그렇다고 너무 듬성듬성 식재하면 제대로 된 경관이 나오질 않습니다. 그래서 기준이 필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식재밀도 기준에 대해 알아볼게요.


≣ Contents


    조경설계기준 식재밀도

    조경설계기준에 식재밀도에 대한 내용이 있습니다.

    법적인 사항이 아니니 설계여건에 맞춰 기준만 참고하시면 됩니다.

     

    01 수목유형에 의한 식재밀도

    수목유형에 의한 식재밀도

    • 교목 열식 및 군식 : 식재간격 6m (공간조건, 수종에 따라 4.5~7.5m)
      >> 주보행로 등에 가로수 형식으로 열식을 할 경우 6m가 적당하겠네요.

    02 공간유형별 식재밀도

    공간유형별 식재밀도

    • 차폐식재 
      - 좁은 식재폭 : 교목 8주/100m2, 소교목 12주/100m2
      - 넓은 식재폭 : 교목 5주/100m2, 소교목 6주/100m2
      >> 교목은 R10이상, 소교목은 R10미만으로 보면 될 거 같습니다.
            물론 면적기준은 녹지면적 기준입니다!

    • 이용하는 자연림 및 도시숲 : 교목 3.5주/m2
    • 출입을 금하는 자연림 및 도시숲 : 교목 5주/100m2, 소교목 2주/100m2
    • 잔디 및 초지 위주의 단층림 : 5~10주/100m2, 울폐도 30%
    • 교목 위주의 복층림 : 10~20주/m2, 울폐도 30~70%
    • 교목과 중목, 관목의 복층림 : 20~40주/m2, 울폐도 70%

    ※ 울폐도 : 나무의 수관(가지)이 서로 겹쳐있는 정도, 수관밀도, 수관투영도
       나무를 평면적으로 봤을 때 나무 면적을 말합니다.


    03 기타 식재밀도

    기타 식재밀도

    • 산업단지 및 공업지역 완충녹지 : 교목 2주/10m2(수고 1.5m 이상, 식재간격 1.0~1.5m), 관목 6주/10m2
    • 방화녹지 : 수고 10m 이상 교목
    • 가로수 : 생장 빠른 교목은 8~10m 간격, 생장 느린 교목은 6m 간격

    04 도시공원 식재밀도 기준

    도시공원 식재밀도 기준

    • 도시공원 식재밀도 기준입니다. 공원설계 시 참고하세요. 
      아무래도 저 식재밀도 기준 이상으로 설계하시는 게 좋겠죠?

    공간별 식재밀도 기준에 대해 알아봤어요.

    식재밀도는 조경기준에서 말하는 법적조경면적의 0.2주..가 아닙니다.

    실 녹지면적에 대한 주수입니다.

    식재설계는 정확한 수치에 의해 설계를 하는 것이 아닙니다. 굉장히 주관적이죠. 

    사람마다 좋아하는 나무가 다르고, 원하는 풍경이 다릅니다. 

    그럴 때 기준을 가지고 설계를 한다면 누군가 설계에 대해 문의를 했을 때 제대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요즘 굉장히 어려운 시기입니다. 우리 모두 힘내서 일했으면 합니다.

    다음에는 실시설계시 필요한 관목, 초화류 식재밀도, 식재간격에 대해 포스팅할게요.

    도움이 되는 다른 글들도 있으니 둘러보세요.

     

     

    [법규] 국토교통부 고시 '조경기준' 2024년 기준

    조경설계시 반드시 알아야 할 조경기준에 대해 알아볼게요.국토교부에서 고시한 조경기준은 [시행 2018. 7. 3.] [국토교통부고시 제2018-413호, 2018. 7. 3., 일부개정]입니다.법적인 사항이기 때문에 대

    landarch.tistory.com

     

     

    조경설계 식재 지주목 설치기준

    안녕하세요. 랜드로101입니다.조경설계에는 다양한 항목이 있습니다.식재, 시설물, 포장 등 외부공간은 무조건 조경설계 영역이라고 보시면 됩니다.그 중 식재는 조경설계에서 가장 중요한 항목

    landarch.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