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랜드로101입니다.
업무 상 캐드 작업이 차지하는 비율은 상당히 큽니다.
캐드는 정말 많은 명령어들이 있고, 그중에 사용하는 명령어가 10%가 될까 싶은데요.
게다가 각 분야별로 쓰는 명령어들은 조금씩 다르죠.
제가 가장 많이 쓰는 명령어는 'save' 인 거 같아요.
열심히 작업하다가 저장되지 않고 날린 경험이 꽤 있기에 '저장의 생활화'가 가장 중요합니다.
제 머리는 기억을 못 해도 손가락은 기억을 하고 있을 정도입니다.
캐드 명령어도 머리가 기억은 못하지만 손가락은 기억하는 명령어들이 있어요.
그런데 명령어가 길거나 낯설어서 기억 못 하는 것들도 있습니다.
그럴 때마다 저는 메모앱에 항상 기록을 해 둡니다.
제가 기록한 메모들을 공유해 봅니다.
얼마 전 제가 쓰는 원노트 내용이 삭제되어 당황했던 기억이 있기에
블로그에 포스팅으로 남겨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하려고도 합니다.
혹시 저처럼 원노트 삭제되어 당황하신 분들은 아래 포스팅 참고하셔서 복원해 보세요.
마이크로소프트 원노트 onenote 실수로 지운 파일 복구하는 완벽한 방법
안녕하세요. 랜드로101입니다. 작업하다보면 메모할 일이 종종 있습니다.그때 사용하기 좋은 프로그램이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나온 '원노트'입니다.(다른 메모앱들 사용해봐도 글, 그림, 링크 등
landarch.tistory.com
★ 해치 경계선 만들기
가끔 경계는 없이 해치만 있을 경우 해치 경계선을 만들어주는 명령입니다.
포장, 녹지 등 면적을 구하고 싶을 때, 해치만 있다면 경계를 생성해 면적을 구해보세요.
1. 경계선이 없는 해치를 선택 후 우클릭
2. '경계 생성'을 선택하면 바로 생성
3. 경계선은 현재 선택된 레이어에 생성되므로 원하는 레이어 선택 후 작업
★ 블록 편집 시 보이는 화면 그대로 편집
도면 내 블록을 수정할 때 보통 어떻게 하시나요?
블록을 더블클릭하면 블록 편집창이 뜨고, 거기서 수정을 합니다.
그런데 전체 도면을 보면서 블록을 편집해야 할 일도 분명히 생깁니다.
그럴 때 정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그림을 보면서 설명드릴게요.
1. 빨간색 박스 부분이 블록으로 지정되어 있어요. 저 블록을 수정해 볼게요.

2. 명령어 : refedit
명령어를 입력하고 블록을 선택합니다.
참조편집창이 뜨고 선택한 블록을 보여줍니다.
확인 누릅니다.

3. 블록을 제외한 주변은 어둡게 표현됩니다.
블록을 수정해 줍니다.
수정이 다 되었다면 빨간 박스에서 '변경사항 저장'을 눌러줍니다.
수정할 필요가 없다면 '변경 사항 버리기'를 선택하세요.
명령어 : refclose 를 실행하면 저장 후 닫기가 됩니다.

다음에도 좋은 꿀팁 가지고 돌아올게요.
야근 없는 조경설계를 희망합니다!
'조경프로그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드 외부참조 xref 기초와 사용법 (0) | 2025.03.21 |
---|---|
마이크로소프트 원노트 onenote 실수로 지운 파일 복구하는 완벽한 방법 (0) | 2025.03.19 |
캐드 버전 다운 무료 프로그램(DWG Trueview) (2) | 2024.11.13 |
캐드나무 소스 DWG 무료 다운로드 (2) | 2024.10.15 |
캐드도면 용량 줄이기, 확실한 방법 (2) | 2024.10.14 |